2008. 7. 19. 21:44
답안작성 5대 원칙 | 추천 0 ![]() |
[└합격노하우] 2008-05-20 11:39:51 |
출제의도의 정확한 파악으로 초점을 좀더 명확히 모아야 합니다. 출제된 주제는 출제자가 볼 때에는 현재 이 주제가 해결안으로서 매우 타당하다는 의미로 일단 이해해야 합니다. 이 주제가 해결안이라면 어떤 문제가 있었기에 이 해 결안이 중요히 다뤄져야 하는지를 생각해 본다면 문제(problem)들을 쉽게 식별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이 출제의도를 맞추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제한된 시간과 지면으로 인하여 출제된 주제관련 사항의 모든 면에서의 정보를 제시 할 수가 없습니다. 출제자는 출제와 동시에 공식문서로 남으며 또한 제 3자인 채점 자에게 채점시 채점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채점기준표를 작성하게 되어있습니다.채점 기준표를 작성하는 원칙에는 출제자의 출제의도를 가장 중요한 키 팩터로 인정해 줍 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꿰뚫어본다는 것은 바로 채점기준표를 보면서 답안을 작성하는 거 나 꼭 같은 것이 됩니다. 2. 유용성 응용력 제시 기술사 시험의 목적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그 기술에 관한 응용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를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물론 알고 있으면 응용을 잘할 수 있을 거라는 가정은 성립하지만 확신을 얻기에는 미흡하기 때문에 답안작성 때에 알고 있다는 사실이외 에 이것을 어떻게 응용할 수 있다는 응용능력을 제시해야 합니다. 응용능력의 수준은 예비기술사가 작성한 답안이 기술용역 제안서라 보고 이 제안을 클라이언트가 신뢰하게 되어 프로젝트가 계약 체결되는 그 정도의 힘을 가진 답안이 되어야 합니다. 좋은 답안은 클라이언트가 투자마인드를 확고히 가지고 투자를 결정하는 수준이어야 합니다. 또한 예비기술사의 답안은 예비기술사가 프로젝트 매니저로 역할을 한다면 프로젝트 구성원들에게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합니다. 3. 논리성 답안의 흐름에 있어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도입부에 있는 내용과 그 다음에 이어지는 내용과는 어떠한 연결성이 약하다면 일관 성이 낮다고 봐야 합니다. 논리성의 핵심은 제시하고자 하는 무엇이 어떠한 연고로 그것을 제시하느냐에 있습니다. 제시된 결과만을 놓고 그 적정 여부만을 따지는 방 법보다는 그렇게 제시될 때까지 어떠한 과정을 밟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논리 성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제 3자가 보면서 어떠한 점을 필요이상으로 과대 평가했는 지 등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토론할 수 있게 하는 문을 열어 주는 안내자가 됩니다. 또한 논리성 있는 답안은 채점위원에게 예견성을 부여 해줍니다. 채점위원이 볼 때 이러한 흐름으로 간다면 다음 단락은 무엇이 나오겠구나 하는 예 견성을 높여 주기 때문에 채점하는데 별로 힘들이지 않고 채점을 하게 됩니다. 예비기술사는 당해 주제에 대해 전체를 볼 줄 안다는 점을 제시하는 좋은 방편 중에 하나가 논리적 구성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4. 전문성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 전문용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일상 대화에서 나오는 구어체적 표현은 피해야 합니다. 예를 든다면 --같다, 그러니 까, 말하자면, 잘 안된다, 크다, 적다 등이 답안에 나와서는 안됩니다. 예비기술사의 식견을 제시하는데 ADT, Decision Table, Matrix Chart 등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5. 독창성 나만이 가지는 문제의식과 그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응용력을 독창성 높게 제시해야 합니다. 예비기술사 자신의 관심분야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자신의 의지가 나타나야 합니다. 그림을 선택할 때도 이미 잘 알려진 모습의 그림보다는 내용을 보다더 함축 하고 있으며 이해하기가 쉬운 그림을 제시하여야 합니다. |
'기본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XML DataBase (0) | 2008.10.04 |
---|---|
기술사 시작이 곧 반이고 길임을...(기술사 공부방법 및 시험준비요령) (1) | 2008.07.19 |
기술사 답안작성/특화요령 (0) | 2008.07.19 |
[디지털TV] 아날로그 TV의 종료선언과 라디오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 (0) | 2008.03.31 |
통합 커뮤니케이션(UC) 시장의 현황 및 전망 (0) | 2008.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