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2. 23. 18:56
온라인 익명성의 종말…'단일ID'의 파급력은?
[ZDNet Korea 2008-12-23 16:00]

[지디넷코리아] 인터넷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려 하고 있다. 익명에 얼굴도 없는 IP주소 대신, 소셜 컴퓨팅과 계속되는 기술 발전에 따라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웹2.0’이 오면서 미국의 네티즌들은 사진 공유 사이트에 자신이 찍은 사진을 올리고, 다른 사이트에서는 스텀블어픈(StumbleUpon)으로 북마크를 등록하고, ‘트위터’나 ‘딕닷컴’에 참여하는 등 생활의 단편을 인터넷에서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이 부분적으로 조금씩 공개되어가는 세계를 만났다. 그러나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등장은 새로운 웹이 가져온 급속한 변화 중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가까운 미래의 웹에서는 익명성은 존재하지 못한다. 이미 익명성이 사라졌다는 주장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틀린 주장이다. 현재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사이트에서 남의 이름이나 브랜드를 가장한 사람들은 차고 넘치고, 유명인을 ‘마이스페이스’에서 검색해보면 그 인물의 ‘공식 홈페이지’라는 이름의 웹페이지가 수백페이지에 달한다. 하지만 그러한 ‘위장’의 시대는 곧 임종을 맞을 것이다.

◇인터넷 세계에서의 ‘위장’은 이제 범죄

미국의 경우 인터넷 실명제 주장의 일등공신은 ‘로리 드류의 마이스페이스’ 사건이다.

로리 드류라는 중년 여성은 자신의 딸과 심하게 다툰 딸의 친구를 괴롭히기 위해 소년으로 위장해 ‘미국판 싸이월드’인 마이스페이스에 가입해 딸의 친구에게 접근했다. 처음에는 온갖 감언이설로 그 소녀를 꾀어 사귀는 척했다가 나중에는 “너 같은 건 죽어버려야 세상이 좋아질 것”이라는 악담을 퍼부으며 다른 사람들까지 동원해 소녀를 집단으로 괴롭혔고, 소녀는 결국 자살했다.

이 사건을 다룬 최근 판결에서는 인터넷상에서 가공의 인물을 만들어낸 행위를 범죄로 간주했다. 인터넷에서의 ‘집단괴롭힘’과 ‘악플’이 자살로 이어진 점도 그렇지만, 이번 판결에 따라 인터넷에서 새로운 인격을 만드는 행위에 대해 빨간불이 켜졌다.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법률전문가인 앤드류 그로스먼은 “이 판결이 유효하다면, 인터넷 사이트의 모든 것에 형법이 필요하게 된다”며 “지금까지는 작은 계약에 불과했던 것들이 중대한 범죄적 금지 조치가 된다”고 지적했다.

◇‘진짜’ 자신의 인증

‘가짜’를 배제하려는 사이트의 요구에 응하려면 새로운 방식의 인증이 필요하게 된다.

페이스북이나 구글은 이용자가 신청자 본인인지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준비를 이미 갖췄다. ‘페이스북 커넥트’ ‘구글 프렌드 커넥트’와 야후의 ‘오픈 스트래티지’에서는 체계적인 ID관리를 위한 준비를 진행중이다. 이들 기업은 온라인 ID에 관한 사실상의 제공업체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이 경쟁이 실현되면 결국 인터넷의 익명성은 사라지게 된다. 이런 종류의 인증 방식을 채용한 사이트에서는 앞으로 이용자는 ‘악플’을 남기기 위한 일회성의 이용자명이나 패스워드를 만들 수 없게 된다. 온라인에서도 이용자는 이용자 자신으로서, 현실의 공공장소에서 만났을 때와 같은 기준을 준수해야 하는 것이다.

◇단일 ID가 끼치는 심리적 영향

마이스페이스가 지원을 약속한 이상주의적인 계획 ‘오픈ID’에 대해서는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 야후 등의 대기업뿐 아니라 미국의 오바마 차기 대통령도 환영하고 있다. ID가 하나로 통일되면, 일종의 신원증명서를 사용해 수많은 사이트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보통 사람들은 ‘오픈ID’의 전문적인 측면은 모르더라도, 그 심리적인 영향은 점차 나타나게 될 것이다. 자신이 여러 사이트에 걸쳐 하나의 신원증명서와 하나의 이용자명을 사용하는, ‘1명의 인간’이라는 개념을 접하면, 스스로의 행동이 추적 가능해지기 때문에 지금까지처럼 익명의 존재는 아니라는 자각이 생기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용자 데이터의 지배자

단일ID이 세상에서 구글은 ‘새로운 지배자’가 될 것이다. 검색엔진을 비롯해 이메일 서비스인 ‘지메일’과 무료 분석툴을 사용하기 위해 사람들은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대량으로 구글에 제공해 왔다. 우스갯소리처럼, “구글은 당신이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지 모두 알고 있다”.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 나타나는 무서운 미래상은 이미 현실로 다가왔다. TV화면으로 우리를 응시하는 ‘독재자’의 문제가 아니다. 정부도 아닌 일개 기업에, 개인 데이터와 아이덴티티를 맹목적으로 기꺼이 내미는 세계가 된 것이다.

◇적응을 위한 싸움

아마도 미국 사회에는 익명성 결핍에 따른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등장할 것이다.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사이트에 재미로 사진이나 글을 올렸다가 바로 ID를 추적당해 일자리를 잃고 재취업도 되지 않는 일이 생길지도 모른다.

하지만 좋은 점은 악플은 물론이고 타인을 찍은 사진을 마구잡이로 올리는 현 세태가 개선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만큼 또다른 프라이버시는 보호될 수도 있는 것이다.

서로 상처를 받지 않을 유일한 방법은 ‘남 앞에서는 항상 조심’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인터넷에서의 익명성이 없어지면, 스스로 항상 기록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사람들은 ‘원래 모습’ 보다는 타인에게 보여지기 위한 ‘또다른 인격’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높다.

이를테면 요즘 인기를 얻고 있는 이른바 ‘리얼리티 프로그램’도 출연자가 카메라가 자신을 찍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남에게 보여주기 싫은 본모습을 보여줄 수 없게 된다. 자신의 ‘브랜드 이미지’가 공공장소에서의 정체성이 되고, 결국은 자신의 정체성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생각하면, 온라인에서 익명성을 잃는 일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보안을 위해 사이트마다 ID와 PW를 각기 다르게 하고, 그것을 관리하느라 골머리를 앓을 필요가 사라진다. 검색데이터에도 한 곳에서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

다만 간편한 로그인, 검색가능한 개인 데이터나 웹 이력, 또 많은 친구가 있는 소셜네트워크와 같은 편리함은 그 과정에서 자기 자신의 일부를 교환한 대가로 주어진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새로운 인터넷에서는 자신의 아이덴티티와 개인정보가 서비스의 대가가 된다. 우리가 우리의 개인 데이터를 넘겨준 기업이 자사의 이익을 위해서 그 데이터를 사용한다면, 이미 버스는 떠난 것이다. 그때 아무리 화내봤자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스스로를 탓하는 일밖에는 없다. @


Sarah Perez(ReadWriteWeb)=정리,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메가뉴스 & ZDNet & C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 주소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92&article_id=0001944937
2008. 12. 23. 18:12
하이닉스, 美 오보닉스와 P램 라이선스 계약
권해주기자 postman@inews24.com
하이닉스반도체(대표 김종갑)는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P램의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 오보닉스와 P램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고 1일 발표했다.

하이닉스와 오보닉스는 P램 기술 개발을 비롯해 재료, 공정, 디자인, 생산 등 분야에서 협력하게 된다. 하이닉스 박성욱 부사장은 "메모리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P램 사업에 본격 진출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며 "P램의 성공적인 기술 개발 및 양산을 위해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P램은 상변화 물질에 전류를 가하면 고체와 액체로 변하는 상변화에 따른 저항의 차이를 이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다. 보통 D램의 기억 소자는 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로 구성되는데 비해, P램은 캐패시터 대신 트랜지스터와 레지스터로 구성돼 소자 크기는 물론 생산 비용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램과 같은 낮은 전압에서 동작이 가능하며, 플래시메모리보다 10배 이상 빠른 처리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퍼펙트(Perfect) 램' 이라 불릴 만큼 우수한 성능을 갖춘 P램은 향후 D램과 플래시메모리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메모리의 선두주자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이닉스는 지난 7월 발표한 중장기 마스터플랜에서 오는 2017년까지 매출의 30% 이상을 P램 등 신규 제품군으로 채우겠다고 밝혔다.

하이닉스는 차세대 메모리 관련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다른 회사들과 손을 잡는데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8월엔 스위스의 메모리반도체 기술 개발업체 이노베이티브실리콘과 신개념 메모리 반도체 Z램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맺기도 했다. 회사 측은 앞으로 차세대 메모리 개발을 위한 제휴 및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다양한 제품군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08. 12. 23. 18:10
P램시장 '개화' 주목…뉴모닉스, 업계첫 공급
2008년 12월 22일 오후 17:30
권해주기자 postman@inews24.com


플래시메모리 전문기업 뉴모닉스가 업계에서 처음 P램 제품의 공급을 시작했다고 EE타임즈가 22일 보도했다.

뉴모닉스는 최근 90나노미터 공정을 기반으로 제작한 128메가비트(Mb) P램을 임베디드(내장형) 분야 고객사에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 측은 지난 2월 이 제품의 샘플을 고객사들에 제공하기 시작했다.

P램은 빠른 데이터 읽기 및 쓰기속도와 낮은 소비전력,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메모리로서 특징 등을 갖춰 차세대 메모리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다. 아직까지 본격적인 생산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높은 발열현상을 어떻게 개선할지가 관건이다.

뉴모닉스는 내년 65나노를 건너뛰고, 곧바로 45나노의 초미세 공정으로 P램을 생산·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내년 말까지 각종 소비가전기기 및 임베디드 분야에 공급할 다양한 제품군을 확보할 방침이다.

뉴모닉스 임베디드사업그룹의 글렌 호크 제너럴 매니저는 "최근 고객사들이 노어플래시메모리를 대체하기 위해 P램 채용을 모색하고 있다"며 "내년 제품 공급은 가격상황 및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갈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2005년 세계 최초로 256Mb P램 시제품을 선보였던 국내 삼성전자도 내년 P램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0㎜(8인치) 웨이퍼 공장을 활용해 65나노 공정으로 512Mb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나, 역시 시장상황에 맞춰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하이닉스반도체는 내년 말까지 50나노급 공정으로 512Mb P램 제품 개발을 마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2008. 12. 23. 18:08
KIPA, 선진 RFP 체계 방안 제시
"ISP 사업시 세부 요구사항 담아야"
2008년 12월 18일 오후 18:59
서소정기자 ssj6@inews24.com

소프트웨어(SW) 개발사업 추진 시, 형식적인 제안요청(RFP) 절차를 개선,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골자로 한 '선진 RFP 체계'가 첫 선을 보였다.

앞으로는 정보전략계획(ISP) 사업시 세부 요구사항을 담은 제안요청을 수립해 업무 부담을 줄이고, 개발기간과 품질 테스팅 기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또 개발과정에서 독립적인 ISP 체계를 구축해 사전에 정보화 사업의 단추를 제대로 끼울 수 있는 방안을 확립한다는 계획이다.

◆"형식적 RFP, SW산업 발전 저해"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KIPA)은 1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SW사업 요구관리 선진화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SW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형식적·소모적인 RFP 체계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발표했다.



이날 개회사에서 KIPA 신재식 원장 직무대행은 "SW 개발자 주간 평균 근무시간은 적게는 60시간 많게는 70시간으로 평균 근로자 근무시간인 46~48시간을 훌쩍 뛰어넘는다"며 "SW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SW산업인을 살리는 것이 우선"이라고 입을 열었다.

신 원장 직무대행은 이어 "SW개발자가 과도한 노동에 시달리는 이유는 발주자의 불명확한 요구사항으로 인해 RFP 작성에 시간과 노력이 과도하게 집중되기 때문"이라며 "SW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구사항 분석 문제를 개선해, 선진화된 RFP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선진국의 경우 ISP 등의 기획단계에서 제안요청 내용이 상세하게 산출되도록하고 있지만, 국내는 기획이 전사적 아키텍처(EA) 기반으로 추진되지 못해 '청사진'으로서의 ISP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됐다.

신동익 홍익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교수는 "국내 기획 프로세스는 사업단위별로 ISP를 추진해 전사적 범위의 최적화 계획 수립이 어렵고, ISP의 범위와 구체성이 사업별로 상이해 ISP 산출물에 대한 활용성이 떨어진다"고 꼬집었다.

따라서 기획을 단순히 개발 이전의 사전 영업서비스로 볼 것이 아니라 전문 컨설팅 서비스로 활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제안서 평가 절차도 개선 시급"

신 교수는 "국내는 정보화 사업 수행시 RFP의 형식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며 "고객의 요구사항을 분석해 RFP가 사전에 정의, 개발이 진행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려운 일로 치부되는 만큼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KIPA 전략기획팀 신익호 팀장 역시 "정보화 사업을 진행할 때 국내는 개발·운영 단계를 중시하는 반면 선진국은 이에 못지 않게 기획단계를 중시한다"며 "ISP 등 기획 단계부터 제안요청 내용을 상세히 산출해 적정 개발기간과 품질 테스팅 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신 팀장은 "많은 시간과 예산을 들여 작성한 RFP가 짧은 시간의 제안 평가후 바로 폐기되는 모순에 처해있다"며 "앞으로 RFP 선진화 방안에 제안서 평가 개선 방안도 포함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